자리배치
Last updated
Last updated
SSOBIG TOOL 자리배치 모듈이란? 자리배치 모듈은 SSOBIG 툴에서 제공하는 독립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방에 참가하는 플레이어들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팀 및 구역을 손쉽게 재배치할 수 있게 하는 상호작용 기능입니다.
구역/팀/역할 설정: 참가자들을 특정 구역이나 팀으로 배분할 수 있고 참가자마다 다른 역할을 부여 할 수 있다.
자동 및 수동 배치: 사전 규칙에 따른 자동 배치와 개별 조정을 위한 수동 배치 기능
구역은 장소나 영역과 같은 개념입니다.
이는 소통 콘텐츠내에서 참가자들이 모이는 넓은 물리적 또는 가상 공간을 의미하며, 여러 구역으로 나누어 활동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구역, B구역,C구역 등으로 나누어 참가자들이 특정 영역에서만 활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습니다.
팀은 참가자들의 상태나 그룹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이는 각 참가자가 어떤 그룹에 속해 있는지를 나타내며, 같은 구역 내에서도 여러 팀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A구역 내에 서로 다른 팀으로 분류되어 있거나, 같은 팀의 구성원이 여러 구역에 흩어져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역할은 참가자의 개인 속성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개인 속성으로 [접근 권한],[보기 필터] 를 걸어 다양한 인터랙션이 가능합니다.
참가자는 하나의 역할만 부여 받을 수 있습니다.
요약
구역은 넓은 의미의 장소를 나타내며, 모임의 물리적 또는 가상 공간의 분할 단위입니다.
팀은 참가자들의 상태나 그룹 속성을 나타내며, 같은 구역 내에서도 여러 팀으로 구분될 수 있고, 한 팀의 구성원이 여러 구역에 걸쳐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역할은 참가자의 개인 속성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개별 [접근 권한]과 [보기 필터]를 적용하여 맞춤형 인터랙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구역, 팀, 역할은 모두 참가자들의 상태를 나타내지만, 구역은 더 넓은 영역을, 팀은 세부 그룹 또는 상태를, 그리고 역할은 각 참가자의 개별 속성을 표현하는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타내지만, 구역은 더 넓은 영역을, 팀은 세부 그룹 또는 상태를 표현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구역 및 팀 생성:
구역과 팀을 원하는 만큼 만들 수 있습니다.
자리배치 모듈 진행관리에서 구역 관리, 팀 관리 토글을 클릭세요
원하는 구역, 팀의 숫자만큼 화살표를 클릭하세요.
구역,팀의 이름을 알파벳 또는 숫자로 만들 수 있습니다.
구역 및 팀 상세 설정 :
설정 접근 방법
구역 영역 또는 팀 영역을 길게 누르면 설정 창이 열립니다.
상세 설정 내용
이름 및 색상 변경:
구역 또는 팀의 이름과 색상을 원하는 대로 수정할 수 있습니다.
제거 기능:
불필요한 구역이나 팀은 설정 창에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
단, 한 번 제거 후 [변경사항 반영] 버튼을 눌러 저장하면, 해당 항목은 복구되지 않습니다.
고정 및 숨기기 기능:
고정:
자리 섞기 기능을 실행할 때, 고정된 구역이나 팀은 참가자 배치에서 변경되지 않습니다.
고정된 구역이나 팀에 속한 참가자들은 다른 그룹과 섞이지 않습니다.
숨기기:
자리배치 모듈 송출 시, 숨김 설정된 구역이나 팀은 참가자 화면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해당 구역에 참가자가 있더라도 화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습니다.
초기 설정
초기 구역 설정:
참가자들이 방에 입장할 때 기본적으로 배정되는 구역을 지정합니다.
첫번째 팀 설정:
참가자들이 방에 입장할 때 자동으로 부여되는 기본 팀을 지정합니다.
예를 들어, 초기 구역을 “A”로, 첫번째 팀을 “팀1”으로 설정하면, 참가자가 방에 처음 입장할 때 자동으로 구역 A와 팀 1에 배치됩니다.
자동 배치 :
미리 설정한 셔플 방법,분배 방법(예: 팀 이동,팀 재편성 등)에 따라 참가자들을 자동으로 배정합니다.
원하는 셔플,분배 방법을 설정 한 후 섞기를 누르고 [플레이어변경 반영]을 눌르면 변경이 완료 됩니다.
자동 배치 실행 후, 결과를 자리배치 상세 설정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팀 섞기 :
참가자들이 이전 자리 배치와 최대한 겹치지 않도록, 데이터 기반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새로운 팀을 구성합니다.
이전 배치 결과와 비교해, 현재 각 팀에서 얼마나 많은 참가자들이 이전에 만난 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팀 기반] 버튼을 클릭하면, 팀 내 중복 만남 수에 대한 평균과 최대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평균: 각 팀에서 평균적으로 몇 명이 이전에 동일한 참가자와 만났는지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평균이 1.0이면 각 팀에서 평균 1명이 이전에 만난 적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최대: 팀 내에서 한 번에 가장 많이 겹친 경우의 인원 수를 표시합니다.
전에 있던 자리 배치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수동 배치:
자동 배치 후에도 개별 참가자를 클릭해서 다른 구역,팀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역할 생성:
원하는 역할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자리배치 모듈 설정 → 역할 +버튼을 눌러 새 역할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일반 맴버]가 기본 역할로 되어 있습니다.
기본 역할은 참가자가 들어올 때 부여 받는 역할입니다.
새 역할을 추가할 때 이름과 색상을 설정합니다.
역할 상세 설정 :
기본 역할을 바꾸려면 [일반맴버] 역할을 수정하세요. 혹은 [일반맴버] 역할을 지우고 다른 역할을 기본 역할로 지정하세요.
역할 분배:
편집 완료된 역할을 기반으로 자동 분배할 수 있습니다.
[역할 재분배] 버튼을 누르면, 미리 설정한 각 역할의 인원수만큼 팀 내 참가자에게 자동으로 할당되며, 설정 인원수가 충족된 후 남은 인원은 기본 역할로 지정됩니다.
[플레이어변경 반영]을 누르셔야 확정됩니다.
또한, 수동으로 역할을 할당할 수도 있습니다.
수동 할당 방법:자리배치 상세 설정 → 플레이어 선택 → 위로 스크롤 → 역할 선택 → 원하는 역할 클릭하여 할당합니다.
[플레이어변경 반영]을 누르셔야 확정됩니다.
자리배치 모듈을 송출 할 때 참가자들에게 보일 정보들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구역,팀,역할,번호,닉네임,성별 중 선택 된 정보만 보입니다.
하나 씩 눌러 [미리보기]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확인해보세요!
같은 팀일 때만 역할 보여주기:
동일 팀 내 참가자들끼리만 역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정보 노출을 제한합니다.
관계가 있을 때만 역할 보여주기:
특정 관계가 형성된 경우(매칭시)에만 역할 정보를 노출하여, 불필요한 정보 노출을 방지합니다.
자리배치 연습하기 기능은 실제 참가자가 입장하기 전에, 가상의 플레이어를 생성하여 시스템 동작과 자리배치 설정을 미리 테스트해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를 통해 모임 진행 전에 설정을 점검하고, 문제가 발생할 경우 미리 수정할 수 있습니다.
가상 플레이어 생성
참가자가 아직 입장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가상의 플레이어를 생성하여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무작위 플레이어 추가: 무작위로 플레이어를 생성합니다.
무작위 플레이어 (여자) 추가: 무작위로 여성 플레이어를 생성합니다.
무작위 플레이어 (남자) 추가: 무작위로 남성 플레이어를 생성합니다.
무작위 플레이어 (성별 없음) 추가: 성별이 지정되지 않은 플레이어를 생성합니다.
플레이어 관리
번호 리셋: 참가자들의 번호를 자동으로 재정렬하여, 빈 자리가 생기지 않도록 모든 번호가 순서대로 채워집니다.
선택된 플레이어 강퇴: 플레이어 중 특정 인원을 선택하여 강퇴시킬 수 있습니다.
모두 선택: 현재 모든 플레이어를 한 번에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가상 플레이어 생성
자리배치 상세 설정에서 원하는 옵션(무작위 플레이어 추가, 무작위 플레이어 여자/남자/성별 없음 추가)을 클릭하여 가상의 플레이어를 생성합니다.
가상의 플레이어 닉네임은 (bot_*****) 동일한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플레이어 관리
생성된 가상 플레이어들은 자리배치 모듈의 목록에 표시됩니다.
개별 플레이어를 선택하거나, 모두 선택 기능을 사용하여 한 번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선택된 플레이어 강퇴 버튼을 클릭하여 특정 플레이어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및 연습 완료
생성된 가상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자리배치 설정과 다른 모듈의 기능을 테스트합니다.
연습을 통해 얻은 결과를 확인한 후, 실제 모임 진행 전에 설정을 점검하고 필요한 변경사항을 저장합니다.
가상 플레이어로 진행한 연습 결과는 실제 데이터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연습 후에는 테스트 데이터를 초기화하거나, 실제 참가자 데이터와 구분하여 관리해야 합니다.
역할 상세 설정은 []과 동일 합니다.